운동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아니 한 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근육통을 겪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리고 일부 분들께서는 젖산이라는 물질에 대해서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흔히들 젖산이라고 하면 안 좋은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실텐데요. 근육통의 주범이 바로 젖산이라고 알고 계신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과연 젖산이 근육통의 원인일까요? 젖산은 우리 몸에 안 좋은 물질인 것일까요?
젖산의 생성 과정
우리가 하는 운동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바로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인데요. 유산소 운동은 근육 활동에 산소를 필요로 하는 운동을 말하며, 쉽게 말해 편안한 호흡을 지속하면서 할 수 있는 운동을 말합니다. 가벼운 조깅 같은 운동이 유산소 운동에 속합니다.
무산소 운동은 필요한 에너지를 산소를 이용하지 않고 얻는 운동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운동 시 숨이 차서 헐떡 거리고 오래 할 수 없는 운동을 무산소 운동이라고 합니다. 무거운 웨이트 운동, 단거리 전력질주 등이 무산소 운동에 속합니다.
젖산은 무산소 운동 중에 발생되는 대사 물질입니다. 무산소 운동을 지속하게 될 경우 에너지를 포도당을 분해하여 얻게 되는데 이를 해당 작용이라고 부릅니다. 해당 작용의 부산물이 바로 젖산입니다. 무산소 운동을 통해 젖산이 생성되고 처리가 이루어지지않으면 근육에 축적되면서 우리는 근육의 피로를 느끼게 되고 근육 내 젖산이 300㎎/㎗ 이상일 경우 근육 수축, 이완 운동이 불가능해집니다.
근육통의 종류
근육통과 젖산의 관계를 알아보기 전에 우선 운동성 근육통의 종류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운동성 근육통은 크게 운동직후에 나타나는 '급성 근육통' ( AOMS, Acute Onset Muscle Soreness)과 운동 후 약 24시간 이후 발생하는 '지연발생 근육통' (DOMS, Delayed-Onset Muscle Soreness)이 있습니다.
사이클을 아주 강한 강도로 타면 흔히 '허벅지가 타는 것 같다'라고 표현하는 통증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은 아주 강한 운동을 통해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는 주로 선수들이 고강도 훈련을 할 때 발생하는 근육통인데, 이것이 바로 '급성 근육통' 입니다.
또한 흔히 Gym에서 운동하고 다음날 운동부위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을 '지연발생 근육통' 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근육통을 잘 생각해 보면 운동 후 24시간 이내에는 근육통이 심하지 않다가 24시간이 지나면서 근육통이 커지고 이 근육통은 48~72시간까지도 지속되곤 합니다. (우리가 흔히 느끼는 근육통이 바로 지연발생 근육통 입니다.)
근육통의 주범이 젖산?
[ 근피로 및 급성 근육통의 원인 ]
해당작용을 통해 포도당으로부터 젖산이 생성되고, 이 젖산이 젖 산염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수소이온이 나오게 됩니다. 이 수소이온이 근육에 존재하며 근피로, 급성 근육통을 유발하게 됩니다. 다시 말해 운동 중, 운동 직후에 느껴지는 근피로 및 급성 근육통은 젖산 때문이 아닌 젖산이 젖산염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나온 수소이온 때문이라는 것이죠.
[ 지연 발생 근육통의 원인 ]
무산소 운동을 통해 포도당이 소모되면 혈당량을 올리기 위해 포도당신생합성(gluconeogenesis) 작용이 발생합니다.
※ 포도당신생합성 작용은 당해작용의 반대작용 이는 탄수화물이 아닌 젖산, 글리세롤 등의 물질로 포도당을 생성하는 작용으로,
근육 내 축적된 젖산은 포도당 신생합성 과정에 이용되며, 나머지는 유산소 대사를 통해서 분해됩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운동 중 생성된 젖산은 운동 후 1시간 이내에 대부분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지연발생 근육통은 운동 후 24시간 이후에 발생하는데, 젖산은 운동 후 1시간 내에 모두 없어진다면, 과연 젖산이 지연발생 근육통을 유발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지연발생 근육통의 주 원인으로는 근섬유의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일어나는 조직 염증 반응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젖산이 무엇인지, 어떻게 생성되고 분해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젖산은 그동안 근육통의 주범, 없애야 하는 존재로 여겨져 왔지만 실제 포도당신생과정을 통해 젖산이 포도당으로 변하여 다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나쁜 놈'이 아닌 '좋은 놈'이라는 것을 알려드리며 글을 마무리합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AA 효과 있을까? (0) | 2019.12.04 |
---|---|
크레아틴 효과, 복용법 및 부작용 (0) | 2019.12.03 |
감기 빨리 낫는 법 (0) | 2019.12.01 |
공복 유산소 운동 해야할까? (0) | 2019.12.01 |
심박수 높이는 운동을 해라 (0) | 2019.12.01 |